카테고리 없음

윈도우10 구매시 고려할 4가지 선택사항

tomato23 2019. 4. 29. 18:28

선택1. "FPP" VS "OEM"

  • 가격은 FPP가 더 높으나 PC나 메인보드를 바꿔도 다시 사용하다는 장점이 있다.
  • 그러니까 컴퓨터를 변경할 가능성이 있다면 FPP가 장기적으로는 좋은 선택이다. (같은 PC여도 머더보드를 바꾸면 OEM은 먹통이 된다는 말이다)

선택2. 박스패키지 VS 온라인 설치(ESD) 패키지

  • 박스 패키지 구성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고 인터넷으로 키만 구매하는 방식(ESD)이 있다. 이 두 개의 방식에 따라 가격이 달라진다.
  • 박스 패키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4기가 이상의 개인 usb가 필요하다.

선택3. 홈 VS 프로

  • 프로에만 있는 기능으로는 가장 중요한 선택 요인은 사실상 "비트록커" 뿐이다.

선택4. 볼륨버전(Volume) VS 리테일버전(Retail)

  • 볼륨버전(Volume)은 보통 기업에서 구매하여 여러대에 설치하도록 한다.
  • 리테일버전(Retail)은 보통 개인이 구매하여 한대의 PC에 설치하여 사용한다.
  • 윈도우10 파워쉘을 실행한 뒤에 slmgr /dlv 를 통해 라이선스를 확인한다. 만약 개인이 영구 사용을 목적으로 구매했는데 여기에 볼륨 정품 인증 만료일이 기재되어 있다면 뭔가 잘못된 것이다.

합리적 결론

  • 일반적으로 코드 구매방식을 택하여 가격을 낮추돼 FPP 방식을 택하여 장기적인 활용 가능성을 확보하는 방식이 합리적이다. 윈도우 운영체제는 가격의 차이가 부담된다면 홈으로 하여도 개인사용에는 문제가 없다. 그리고 리테일 버전을 구매한다.

구체적인 구매 방법

  • 윈도우 10 처음 사용자용 코드 방식(ESD) 구매를 검색.
  • 본인은 특가 방식으로 "리테일+ESD+FPP+프로"를 2만 5천원에 프로 FPP를 구매하였음. (2019년 4월 기준)

특이사항

  • 윈도우7을 정품으로 사용하고 있었다면, 별다른 인증을 하지 않아도 바로 윈도우10으로 무료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언젠가는 정품인증을 요구받게 되겠지만 그 전까지는 그냥 윈도우7 인증을 이용해 계속해서 윈도우10도 사용할 수 있는 특이한 상황이 벌어진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