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crimination [diskrìmənéiʃən] 디스크리미네이션
본 유튜브 영상에서 보여준 이 단어는 왕따에 가깝네요. 다른 동영상에서도 단지 이성적이고 필요에 따라 구별한다는 이미지보다는 비이성적인 "차별"의 이미지가 차지하고 있습니다. 얼핏보여지는 크라임(crime)의 발음을 단서 삼아 억지로 안좋은 이미지를 덧입혀 외워보면 어떨까요?
obsolete [ὰbsəlíːt] 압설리ː트
시대에 뒤진, 구식의, 쓸모없게 된
관련 예문
obsolete ideas
시대에 뒤진 사상
an obsolete word
폐어, 사어(死語)
단지 오래된 것이 아니라 아주 쓸모 없을 정도가 되어린 옛것을 말하는 것 같네요. 사전상의 뜻과 이미지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참고로 스마트폰 때문에 사라지는 것들을 설명하는 영상도 재미있게 감상해보셔요.
anonymous [ənάnəməs] 어나너머스
익명의, 작자 불명의, 작가미상의
an anonymous letter 익명의 편지[전화]
an anonymous song 작자 미상의 노래
단지 사전 상의 뜻만 들었을 때는 그 느낌이 확 와닿지는 않는데요. 저에게는 단지 이름이 없다라는 이미지가 강한 것 같았습니다. 왜냐하면 유틸리티나 어플을 사용할 때에 계정을 사용하지 않으면 생성되는 anonymous 계정은 게스트 계정처럼 미정 상태의 확정 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생각했거든요. 그런데 anonymous라고 하면 유투브에는 온통 저 하얀 가면을 쓴 영화 캐릭터가 등장합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뉴스는 범죄와 관련이 있거나 협박과 관련이 있습니다. 저것은 단지 무명이라는 의미 보다는 일부러 자신의 정체를 감추는 경우의 이미지로 사용되기도 한다는 뜻이지요. 그런 의미에서 한국말의 "정체불명의"라는 형용사와 뜻이 닿아있는 것 같습니다. 누군지 모르는 정체를 밝히지 않는 사람들에게 느끼는 공포의 이미지를 덧씌워 외워보시기 바랍니다.